송사리 Aqua./Fish 2020. 2. 4. 메다카 송사리 / 송사리 암수 구분 방법 / 대륙송사리 송사리의 암수구분은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로 구분할 수 있다. 대륙송사리도 같다고 알려져 있다. 수컷 : 등지느러미가 갈라져있다. 뒷지느러미가 평행사변형에 가깝다. 암컷 : 등지느러미가 갈라져있지 않다. 뒷지느러미가 삼각형에 가깝다. 배지느러미도 미묘하게 다르지만 굳이 이걸로 구분할 필요는.. 그리고 암컷은 알을 낳으면 수초에 붙이기 전에 배에 알을 달고 다닌다. 그림을 보자 사진으로 암수구별해봅시다. 정답은 Aqua./Fish 2020. 2. 2. 메다카 영상 Medaka メダカ 스타더스트를 분양 받고서 Aqua./Fish 2020. 1. 30. 송사리, 메다카, 메다카 송사리 키우기 메다카란? 일본어 メダカ로 송사리를 일컫는 일본어이다. 분류로는 Oryzias속을 말한다. 기르는 법은 아래에 있다. (암수 구분은 다른 포스트에 있다 클릭) 송사리는 수면의 먹이를 쉽게 찾고 먹을 수 있도록 눈과 입이 위쪽에 달려있는데 일본에서는 이런 겉모습을 보고 눈이 높다고 目高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메다카의 종류 꺼무위키에는 대륙송사리와 송사리의 두 종류가 있다고 서술하나 아니다. 동북아시아에는 3(+1)종의 송사리가 산다. 1) 대륙송사리 (Oryzias sinensis) 황해로 흘러드는 중국 강과 한반도 중부 강에 서식한다. 북한 지역은 모르겠다. 서울, 경기도에서 보이는 송사리는 거의 대륙송사리이다. 구피천의 송사리도 대륙송사리이다. 2) 송사리 (Oryzias lapites) 꺼무위키는 .. 이전 1 다음